밸브별 시운전 가이드
페이지 정보
본문

배수관로에 설치되는 감압밸브, 불출수를 해결 할 수 있는 감압 및
압력유지 밸브, 유수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시간설정 이중제어 감압밸브,
유량연동 이중제어 감압밸브, 실시간 감시/제어 할 수 있는
로보시스 로보콘 밸브의 시운전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감압밸브 : 1차 측 압력변동과 2차측 사용유량에 상관없이 2차측의
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밸브입니다.
갑압밸브는 아래 표준배관도와 같이 설치한 후, 시운전 가이드에 따라
시운전을 진행합니다.
<감압밸브>
<감압밸브 표준 배관도>
절 차 |
설 명 |
Step. 1 |
1, 2차측 게이트 밸브와 바이패스 배관을 완전 차단합니다. |
Step. 2 |
1차측 게이트 밸브를 완전 개방하여 감압밸브까지 물을 채웁니다. |
Step. 3 |
2차측 게이트 밸브를 10~20%만 개방하여 2차측을 만관으로 물을 가득 채웁니다. |
Step. 4 |
후단 이토변(또는 소화전, 수용가)을 약간 열어, 감압밸브를 통해 물이 흘러가게 합니다. |
Step. 5 |
Pressure Reducing Pilot Valve(감압 파일럿) (2) 상단의 캡을 열고, 조절나사부의 너트를 풉니다. |
Step. 6 |
감압밸브 후단에 설치된 2차측 압력 게이지를 보면서, 감압 파일럿 조절나사를 조정하여 2차측 압력을 설정합니다. |
Step. 7 |
감압 설정 완료 후,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 후 조절나사부의 너트를 잠그고 감압 파일럿(2) 상단의 캡을 닫습니다. |
Step. 8 |
2차측 게이트 밸브를 천천히 완전 개방합니다. |
Step. 9 |
후단 이토변(또는 소화전, 수용가)을 천천히 차단시킵니다. |
※ 강제 개방 |
|
※ 강제 차단 |
|
※ 밸브 사용도중(물이 흘러가고 있는 경우)에 압력을 재설정 할 경우, Step. 5 →Step. 6 → Step.7 을 실행합니다. |
※ 주의 : 2차측 게이트 밸브를 급속 개방 시, 2차측 배관 파손이 발생할 수 있고,
동압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서서히 개방합니다.
※ 주의 : 2차측과 연결된 배관의 파손 및 추가적 공사로 인해 배관을 단수 시켜야 할 경우,
2차측 게이트 밸브를 반드시 완전 차단합니다.
재 통수 시에는 위와 같이 재 시운전을 실시합니다.
- 감압 및 압력유지 밸브 : 2차측을 설정된 낮은 압력으로 유지해 주고 ,
또한 1차측 압력이 설정 압력으로 유지시켜주는 밸브입니다.
감압 및 압력유지 밸브는 아래 표준배관도와 같이 설치한 후,
시운전 가이드에 따라 시운전을 진행합니다.
<감압 및 압력유지 밸브>
<감압 및 압력유지 밸브 표준 배관도>
절 차 |
설 명 |
Step. 1 |
1, 2차측 게이트 밸브와 바이패스 배관을 완전 차단합니다. |
Step. 2 |
1차측 게이트 밸브를 완전 개방하여 감압 및 압력유지 밸브까지 물을 채웁니다. |
Step. 3 |
2차측 게이트 밸브를 10~20%만 개방하여 2차측을 만관으로 물을 가득 채웁니다. |
Step. 4 |
후단 이토변(또는 소화전, 수용가)을 약간 열어, 감압 및 압력유지 밸브를 통해 물이 흘러가게 합니다. |
Step. 5 |
Pressure Reducing Pilot Valve(감압 파일럿)(2) 상단의 캡을 열고, 조절나사부의 너트를 풉니다. |
Step. 6 |
감압 및 압력유지 밸브 후단에 설치된 2차측 압력 게이지를 보면서, 조절나사를 조정하여 2차측 압력을 설정합니다. |
Step. 7 |
감압 설정 완료 후,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 후 조절나사부의 너트를 잠그고 감압 파일럿(2) 상단의 캡을 닫습니다. |
Step. 8 |
2차측 게이트 밸브를 천천히 완전 개방합니다. |
Step. 9 |
후단 이토변(또는 소화전, 수용가)을 천천히 열면서, 1차측을 압력유지 할 만큼의 압력으로 맞춥니다. |
Step. 10 |
Pressure Sustaining Pilot Valve(압력유지 파일럿)(3) 캡을 열고, 조절나사부의 너트를 풉니다. |
Step. 11 |
감압 및 압력유지 밸브 전단에 설치된 1차측 압력 게이지를 보면서, 조절나사를 조정하여 1차측 압력을 설정합니다. |
Step. 12 |
압력유지 설정 완료 후,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 후 조절나사부의 너트를 잠그고 Pressure Sustaining Pilot Valve(압력유지 파일럿)(3) 상단의 캡을 닫습니다. |
Step. 13 |
후단 이토변(또는 소화전, 수용가)을 천천히 차단시킵니다. |
※ 강제 개방 |
|
※ 강제 차단 |
|
※ 밸브 사용도중(물이 흘러가고 있는 경우)에 감압 압력을 재설정 할 경우, |
※ 주의 : 2차측 게이트 밸브를 급속 개방 시, 2차측 배관 파손이 발생할 수 있고,
동압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서서히 개방합니다.
※ 주의 : 2차측과 연결된 배관의 파손 및 추가적 공사로 인해 배관을 단수 시켜야 할 경우,
2차측 게이트 밸브를 반드시 완전 차단합니다.
재 통수 시에는 위와 같이 재 시운전을 실시합니다.
- 유량연동 이중제어 감압 밸브 : 사용유량이 많을 때에는 고압으로,
심야와 같이 사용유량이 적을 때에는 저압으로 공급해주며, 실제 사용 유량에 반응하여
공급 압력을 자동으로 변경시켜 유수율을 높여주는 밸브입니다.
<유량연동 이중제어 감압밸브>
<유량연동 이중제어 감압밸브 표준 배관도>
절 차 |
설 명 |
Step. 1 |
1, 2차측 게이트 밸브와 바이패스 배관을 완전 차단합니다. |
Step. 2 |
1차측 게이트 밸브를 완전 개방하여 감압밸브까지 물을 채웁니다. |
Step. 3 |
2차측 게이트 밸브를 10~20%만 개방하여 2차측을 만관으로 물을 가득 채웁니다. |
Step. 4 |
후단 이토변(또는 소화전, 수용가)을 약간 열어, 감압밸브를 통해 물이 흘러가게 합니다. |
Step. 5 |
Pressure Reducing Pilot Valve(고압 파일럿)(8) 상단의 캡을 열고, 조절나사부의 너트를 풉니다. |
Step. 6 |
고압 파일럿 조절 나사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완전히 풉니다. |
Step. 7 |
Pressure Reducing Pilot Valve(저압 파일럿)(7) 상단의 캡을 열고, 조절나사부의 너트를 풉니다. |
Step. 8 |
유량연동 이중제어 감압밸브 후단에 설치된 2차측 압력 게이지를 보면서, 저압 파일럿 조절나사를 조정하여 2차측 압력을 설정합니다. |
Step. 9 |
저압 설정 완료 후, 조절나사부의 너트를 잠그고 Pressure Reducing Pilot Valve(저압 파일럿)(7) 상단의 캡을 닫습니다. |
Step. 10 |
고압 설정 시, Flow Rate Sensing Valve(유량 감지 파일럿)(10) 상단의 캡을 열고, 조절나사부의 너트를 풀고 조절 나사를 완전히 풉니다. |
Step. 11 |
Pressure Reducing Pilot Valve(고압 파일럿)(8) 상단의 캡을 열고, 조절나사부의 너트를 풉니다. |
Step. 12 |
유량연동 이중제어 감압밸브 후단에 설치된 2차측 압력 게이지를 보면서, 고압 파일럿 조절나사를 조정하여 2차측 압력을 설정한다. |
Step. 13 |
고압 설정 완료 후,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 후 조절나사부의 너트를 잠그고 Pressure Reducing Pilot Valve(고압 파일럿)(8) 상단의 캡을 닫습니다. |
Step. 14 |
2차측 게이트 밸브를 천천히 완전 개방합니다. |
Step. 15 |
유량계를 보면서, 후단 이토변(또는 소화전, 수용가)을 열어 고압·저압 전환시점의 원하는 유량으로 설정합니다. |
Step. 16 |
유량 연동 이중제어 감압밸브 후단에 설치된 2차측 압력 게이지를 보면서, 2차측의 압력을 Step. 6 에 설정된 저압으로 변할 때 까지 Flow Rate Sensing Valve(유량 감지 파일럿)(10)의 조절나사를 시계 방향으로 천천히 돌려 전환 시점의 유량을 설정합니다. |
Step. 17 |
유량 설정 완료 후,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 후 조절나사부의 너트를 잠그고 Flow Rate Sensing Valve(유량 감지 파일럿)(10) 상단의 캡을 닫습니다. |
Step. 18 |
후단 이토변(또는 소화전, 수용가)을 천천히 차단시킵다. |
※ 강제 개방 |
|
※ 강제 차단 |
|
※ 밸브 사용도중(물이 흘러가고 있는 경우)에 저압을 재설정 할 경우, |
※ - 유량연동 이중제어 감압밸브 유지관리 지침서 (링크) -
-로보시스 로보콘 :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와 유수율 극대화를 위하여
각종 수 배관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압력제어 및 유량제어가 가능하고,
자체에 내장된 아날로그 신호입력 포트와 펄스신호 입력포트를 통하여
배관 시스템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, 저장할 수 있으며,
통신포트를 통해 배관 시스템의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/제어 할 수 있는 밸브입니다.
<로보시스 로보콘>
<로보시스 로보콘 표준 배관도>
절 차 |
설 명 |
|
Step. 1 |
1, 2차측 게이트 밸브와 바이패스 배관을 완전 차단합니다. |
|
Step. 2 |
1차측 게이트 밸브를 완전 개방하여 감압밸브까지 물을 채웁니다. |
|
Step. 3 |
2차측 게이트 밸브를 10~20%만 개방하여 2차측을 만관으로 물을 가득 채웁니다. |
|
Step. 4 |
후단 이토변(또는 소화전, 수용가)을 약간 열어, 감압밸브를 통해 물이 흘러가게 합니다. |
|
Step. 5 |
Pressure Reducing Pilot Valve감압 파일럿(6-2) 쪽의 배관의 콕밸브(3-4)를 개방하고, 원격 제어 감압 파일럿(6-1) 쪽의 배관의 콕밸브(3-5)를 차단합니다. |
|
Step. 6 |
2차측 게이트 밸브를 천천히 완전 개방합니다. |
|
Step. 7 |
Pressure Reducing Pilot Valve(감압 파일럿)(6-2)의 상단의 캡을 열고, 조절 나사부의 너트를 풉니다. |
|
Step. 8 |
로보시스 로보콘 후단에 설치된 2차측 압력 게이지를 보면서, 조절나사를 조정하여 목표 압력보다 낮게 (최소 유지압력) 2차측 압력을 설정한다. |
|
Step. 9 |
감압 설정 완료 후, 조절나사부의 너트를 잠그고 Pressure Reducing Pilot Valve(감압 파일럿)(6-2) 상단의 캡을 닫습니다. |
|
Step. 10 |
제어판넬에 설치된 로보시스 Robosys Controller(로보콘 컨트롤러)(4)에 전원이 공급되어 메뉴화면이 실행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. |
|
Step. 11 |
메뉴화면으로 이동하여 ‘MAUAL CONTROL' 으로 이동합니다. |
|
Step. 12 |
원격제어 Pressure Peducing Pilot Valve(감압 파일럿)(6-1) 상당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에 신호를 주어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. |
|
Step. 13 |
솔레이노이드 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원격 제어 Pressure Reducing Pilot Valve(감압 파일럿) |
|
|
<통신 연결이 안 된 경우> |
<통신 연결이 된 경우> |
Step. 14 |
메뉴화면으로 이동하여 ‘USER SET'으로 이동합니다. |
메뉴화면 하단에 'REMOTE‘ 를 확인합니다. |
Step. 15 |
‘Target Value' 로 이동합니다. |
|
Step. 16 |
2차측의 압력을 설정하고 'Confirm' 버튼을 누릅니다. |
|
Step. 17 |
메뉴화면으로 이동하여 ‘SENSOR STATUS'로 이동하여 설정된 압력값을 확인합니다. |
|
Step. 18 |
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. |
|
Step. 19 |
2차측 게이트 밸브를 천천히 완전 개방합니다. |
|
Step. 20 |
후단 이토변(또는 소화전, 수용가)을 천천히 차단시키고,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. |
|
※ 강제 개방 |
||
※ 강제 차단 |
||
※ 밸브 사용도중(물이 흘러가고 있는 경우)에 압력을 재설정 할 경우, |
문제점 |
해결방안 |
1. 밸브 자체의 문제 |
파손된 부품의 교체 및 배관 이물질 제거 |
2. 바이패스관의 누수 발생 |
바이패스관의 제수변 교체 |
3. 2차측의 다른 관로에서 압력이 공급될 때 |
다른 연결 관로를 차단 |
문제점 |
해결방안 |
1. 밸브 내의 이물질 |
밸브 내부의 이물질 제거 |
2. 밸브 자체의 문제 |
파손된 부품의 교체 및 배관 이물질 제거 |
3. 2차측의 다른 관로에서 압력이 공급될 때 |
다른 연결 관로를 차단 |
문제점 |
해결방안 |
1. 밸브 내의 이물질 |
밸브 내부의 이물질 제거 |
2. 밸브 자체의 문제 |
파손된 부품의 교체 및 배관 이물질 제거 |
문제점 |
해결방안 |
1. 밸브 자체의 문제 |
-감압비가 크지 않도록 압력을 재설정 |
2. 관로 설계의 문제 |
V-Port를 설치하거나 병렬감압으로 설치 |
3. 같은 라인에 있는 다른 밸브의 문제 |
맥동이 일어나는 밸브의 전·후단의 밸브 재설정 |
- 다음글밸브에 사용되는 원리와 그 예 21.12.28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